■ 진행 : 정지웅 앵커
■ 전화연결 : 강남영 경북대 지리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때아닌 3월 폭설이 내렸습니다. 수도권 대부분은 대설특보가 해제됐지만, 영동 등 일부 지역에는 눈이 내렸다 그치기를 반복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전문가와 함께 날씨 알아보겠습니다. 강남영 경북대 지리학과 교수 전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교수님 나와 계시죠?
[강남영]
안녕하십니까?
서울에는 역대 가장 늦은 대설주의보입니다. 전국적으로 눈이 얼마나 왔습니까?
[강남영]
수도권 기준으로 볼 때 서울은 2000년대 들어서 가장 늦게 눈이 관측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자료를 찾아보니까 수도권에 오전 기준으로 관측 자료를 보니까 10cm 이상 수도권에 내렸고요. 그리고 강원 산간쪽으로는 1cm 이상 쌓인 곳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설특보도 계속 넓어져서 지금 현재 넓은 지역으로 확대되어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봄인 줄 알았는데 날씨가 정말 따뜻했거든요. 그런데 오늘 아침에 눈을 보고 놀란 분들도 있었을 것 같아요. 3월 중순에 이렇게 많은 눈이 내린 이유는 뭡니까?
[강남영]
최근에 대규모 영역에서 폭넓은 찬공기 영역이 우리나라 부근으로 깊이 남하하고 있거든요. 남하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상황 또 기후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올해 라니냐 시기거든요. 라니냐 시기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우리나라 주변에 찬공기가 잘 뭉쳐서 나타나는 일이 전에도 있었고 올해도 그런 경향이 있습니다. 찬공기가 잘 뭉쳐서 나타나는 상황에서 하필이면 올해 3월에 상층과 하층의 대기가 따뜻하게 부풀어 있었던 상황이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찬공기가 뭉쳐서 나타날 때 기단의 대립이 더 세게 일어나고 다시 말해서 저기압이, 기압골이 잘 발달하는 상황이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따뜻한 상황이었다가 이렇게 찬공기가 나타나다 보니까 아무래도 수증기가 많았던 차에 찬공기가 닥치니까 생각보다 많은 눈이 내린 것이고요. 또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공급된 수증기다 보니까 눈의 형태는 축축한 눈, 습설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또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0318125343614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